지난 2월 16일에 분석한 글에서 일봉상 6개월 길이의 역 헤드 앤 숄더(Inverse head & shoulder)가 예상된다고 했었다.
이전 글 참조.
https://100e-trading.tistory.com/4
BTC bitcoin 비트코인 차트분석 (20.2.16 inverse H&S 가능)
패턴: 아직 형성 전, 현재 $10,000 대에서 저항을 맞는다면 Inverse H&S (역 헤드 앤 숄더)를 그릴 가능성이 있다. (기하급수적인 수익률 변화를 가지는 비트코인은 log 차트로 분석한다.) 장기 분석 - 2018년 초..
100e-trading.tistory.com
하지만 예상한 지점(2년 넘게 형성 중인 거대 삼각형 패턴(symmetrical triangle)의 밑변)에 이르기 전에 시간봉 단위에서 반전 패턴(reversal pattern)이 나왔다.
패턴: 역 헤드 앤 숄더(Inverse head & shoulder)
패턴 길이: 1주 (매우 짧은 편 - 일반 해외선물 종목의 하루를 비트코인에서는 6h 정도로 본다. 이와 같은 비율로 보면 4~5주 길이 정도의 패턴)
진입: $8,975 매수(Long)
스탑: $8,870 (-1.2%)
타겟: $9,585
이번 패턴으로만 생각하면 타겟 지점에서 모두 청산하는 것이 맞으나, 만약 스탑을 치지 않고 청산 가격까지 올라가면 지속적으로 홀딩할 생각이다. 이전 분석과 같이, 만약 6개월 길이의 큰 역 헤드 앤 숄더 패턴의 목 라인(neckline)을 상방 돌파한다면 다시금 기하급수적인 상승률을 보여줄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물론 상황에 맞게 스탑을 올리는 것은 기본이다.
> 왜 비트코인 차트는 6시간봉을 하루로 볼까?
클래시컬 차팅에서는 모든 해외선물 종목을 일봉이라는 하나의 기준으로 본다. 간혹 정확한 진입 가격과 시점을 판단하기 위해 4시간봉 정도까지는 보긴 하나 대체로 일봉에서 분석이 끝난다. 비트코인의 경우 해외선물 종목과 달리 24시간 365일 거래가 되며 변동성 또한 엄청나다. 이런 면들을 고려해서 6시간봉을 하루로 생각한다.
> 비트코인 차트를 로그 차트로 보고 있나?
눈썰미가 좋으신 분들이라면 비트코인 차트들이 로그 차트인 것을 눈치챘을 것이다. 비트코인의 상승률과 하락률은 엄청나다. 기하급수적인 움직임을 자주 보이는 비트코인은 일반 차트로 보는 것보다 로그 차트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 왜 원화 비트코인이 아닌 달러화 비트코인을 보나?
한 종목이 여러 화폐단위나 다른 거래소에서 거래될 경우, 정확한 차트분석을 위해선 거래량이 가장 많거나 기준이 되는 거래소의 차트로 분석을 하는 것이 맞다. 이런 의미로 비트코인 차트를 분석할 땐 미국의 Coinbase 거래소, BTC/USD 종목을 활용한다. 한국 거래소들의 비트코인 차트를 보면 환율과 김프/역프 때문에 역 헤드 앤 숄더 패턴이 아닌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트레이딩 > 매매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 NQ S&P 500, Nasdaq 나스닥 해외선물 차트분석 (20.3.12) (0) | 2020.03.12 |
---|---|
KOSDAQ150 코스닥 150 차트분석 (20.3.10 진입대기) (0) | 2020.03.10 |
ZS soybean 대두 해외선물 차트분석 (20.3.5 진입대기) (1) | 2020.03.05 |
CN China A50 해외선물 차트분석 (20.3.4 진입대기) (0) | 2020.03.04 |
SI silver 실버 해외선물 차트분석 (20.2.28 진입) (0) | 2020.0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