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봉 차트분석]
5년의 기간 동안 둥근 천장(Rounding top) 패턴을 보이고 있다.(클래시컬 차팅에서 쓰는 용어는 아니지만 Inverse cup and handle이라 볼 수도 있다. 용어는 크게 상관없다) 0.6200 부근에서 세 번의 지지를 받고 마지막 3번째 지지는 retest 로서 바로 그다음 주에 하방으로 돌파하였다.
몇 개월 전 역 헤드 앤 숄더(Inverse head and shoulder)로 Long 포지션을 잡고, 연속-직각상향삼각형(Continuation ascending triangle, Pennant라고 볼 수도 있다) 패턴으로 피라미딩(add-up)까지 했던 상품인데 어느새 숏을 잡고 있다. 시장은 참 빠르게 변한다.
[일봉 차트분석]
패턴: (주봉상) Rounding top 패턴
패턴 길이: 5년
보통 주봉상의 장기패턴은 정확한 진입 자리를 찾기가 어렵다. 장기패턴의 돌파 지점을 확대하면 그 부근에서 위글거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게다가 장기 패턴이 사선 패턴인 경우(diagonal pattern) 일봉상 진입 자리를 찾기가 더욱 어렵다. 사선상 돌파했다 하더라도 다른 패턴으로 변하는(morphing)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뉴질랜드달러의 경우 지지선이 평행했기 때문에(horizontal pattern) 진입 자리가 명확한 편이다.
이번 진입 전 3/9('?' 지점)에 위 아래로 엄청난 움직임이 있었다. 만약 미리 매도 스탑 진입 주문을 걸어놨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어쩔 수 없다. 저런 날은 털릴 수밖에 없다. 내 그물에 들어오는 물고기가 아닌 것이다.
한국 HTS 중에는 If then OCO 등 만약 매도가 체결된다면 거기에 연계된 스탑과 타겟청산 주문을 자동으로 예약하는 플랫폼이 없어서 약간 답답하다.
<매도 Short>
진입: 이번 진입은 3/13에 자유재량껏(discretionary) 들어감 - 본래는 3/12 0.6200 부근 하방 돌파시
타겟: 0.53
스탑: 0.6165(진입 일봉 고점 부근, 자유재량으로 들어간 거래라 스탑 짧게 잡기)
'트레이딩 > 매매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 S&P500 | S&P500지수 해외선물 차트분석 (20.3.20 진입) (0) | 2020.03.20 |
---|---|
BTC Bitcoin | 비트코인 차트분석 (20.3.17) (1) | 2020.03.17 |
ES NQ S&P 500, Nasdaq 나스닥 해외선물 차트분석 (20.3.12) (0) | 2020.03.12 |
KOSDAQ150 코스닥 150 차트분석 (20.3.10 진입대기) (0) | 2020.03.10 |
BTC bitcoin 비트코인 차트분석 (20.3.5 진입) (0) | 2020.03.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