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봉 차트분석]
4년여간 진행되던 헤드 앤 숄더(Head & shoulder)의 목 라인(Neckline)을 뚫고 하락이 진행 중이다. 아직 주봉 패턴의 타겟 가격까지 가지 않았고 원자재 가격과 많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캐나다 달러의 특성상 장기적으로는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코로나의 여파로 원자재 수요가 줄어들어 가격이 동반 하락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매크로 뷰와 차트의 방향성이 다르다면 트레이더는 고민에 들어가게 된다.
[6시간봉 차트분석]
한 달여간 진행된 상승 삼각형 패턴(Ascending triangle)의 윗변을 깨고 현재 재시도(retest) 중이다. 만약 재시도 지지에 성공하여 다시 상승한다면 매수에 들어갈 수 있다. 지금처럼 장기적인 매크로 뷰와 패턴의 돌파 방향성이 다를 때는 나의 경우 포지션 사이징을 줄인다. 예를 들어 평소에 총자산의 2% 리스크로 사이즈를 잡는다면 이런 경우엔 1% 리스크로 사이징을 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포지션에 진입한 후 평소보다 더 빡빡하게 스탑을 올릴수도 있고 트레일링 스탑(Trailing stop)을 처음부터 걸어버릴 수도 있다. 트레이더 별로 대응 방식은 다를 것으로 생각한다.
이번 캐나다 달러의 경우 두 가지 시나리오로 준비중이다.
시나리오 1: 상승 삼각형 패턴의 윗변을 뚫고 상방 돌파
대응: 0.7385 부근(4년간 형성된 H&S 패턴의 목 라인)에서 매수 포지션 청산, 올라가면서 타이트하게 스탑 관리
시나리오 2: 아래 차트처럼 상방 돌파 실패(False breakout) 후 하방 돌파
대응: 매수 포지션 손절 후 리스크 관리 가능한 매도 포인트 나오면 매도 진입
패턴(주봉): 헤드 앤 숄더(H&S) | 4년+
패턴(6시간봉): 상승 삼각형(Ascending triangle) | 1개월+
<매수 Long>
심볼: 6CM20
진입: 0.72245 돌파
스탑: 0.71480
타겟: 0.73850
'트레이딩 > 매매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입] YM E-mini Dow | 다우지수 매도_200421 (1) | 2020.04.21 |
---|---|
[진입] ZN 10Y note | 미국채 10년물 매수_200415 (1) | 2020.04.19 |
ZN 10Y T-note | 미국채 10년물 해외선물 차트분석 (20.4.12 진입대기) (0) | 2020.04.12 |
GC Gold | 금 해외선물 차트분석 (20.4.7 진입대기_retest) (0) | 2020.04.07 |
ZN 10Y T-note | 미국채권 10년물 차트분석 (20.3.27 진입대기) (0) | 2020.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