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레이딩31

GC Gold | 금 해외선물 차트분석 (20.4.7 진입대기_retest) [주봉 차트분석] 엄청난 변동성이긴 하나 주봉상 상승 트렌드인 것은 확실하다. 기술적인 관점에서의 트렌드 판단은 이동평균선으로 하고 있다.(차트상의 주황색 선) 어느 이동평균선으로 트렌드를 판단할지는 각자의 기준에 맞게 고르면 된다. 숫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논리적으로 말이 되는지, 그리고 꾸준하게 같은 기준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가 더 중요하다. 매크로적인 관점으로는, FED가 무한정으로 달러 유동성을 풀고 있다는 점이 상방 가능성을 높여준다고 생각할 수 있다. [6시간봉 차트분석] 명확한 모양의 역 헤드 앤 숄더(Inverse head & shoulder)를 보여주고 있다. 현재 목 라인(Neckline)을 돌파 후 재시도(Retest) 중인 것으로 보인다. 역 헤드 앤 숄더는 보통 반전 패턴(Rev.. 2020. 4. 7.
ZN 10Y T-note | 미국채권 10년물 차트분석 (20.3.27 진입대기) [4시간봉 차트분석] 지난 3월20일에 올린 ZN 미국채 10년물 2시간봉 차트에서 역 헤드 앤 숄더(Inverse head & shoulder)를 그린 뒤, 해당 패턴이 머리 부분이 되어서 더 큰 역 헤드 앤 숄더 패턴을 4시간봉 차트에서 보여주고 있다. (참조: https://100e-trading.tistory.com/25) ZN 10Y T-note | 미국채권 10년물 차트분석 (20.3.20 진입) [120분봉 차트분석] 바로 앞선 ES지수선물 진입과 마찬가지로, 분봉으로 클래시컬 차팅을 테스트중인 매매이다. 약 3일간 역 헤드 앤 숄더(Inverse head and shoulder)를 그리며 넥라인(neckline)을 상방으로 뚫.. 100e-trading.tistory.com 만약 저번 패턴.. 2020. 3. 27.
SI Silver | 실버, 은 해외선물 차트분석 (20.3.27 진입대기) [주봉 차트분석] 지난주 거대한 삼각형 패턴(Symmetrical triangle)의 밑변을 깨고 하락하다가 급하게 다시 올라온 상황이다. 14.00 부근에서 저항을 받고 다시 하락했으면 하락의 재시도(Retest)라고 볼 수 있었겠지만 그 위로 저항을 깨고 올라온 모양새다. 또한 요즘은 골드와의 상관관계가 높아진 모습을 보이고 있어 골드 상승으로 인한 동반 상승을 보여주고 있다. [120분봉 차트분석] 현재 일봉상으로는 아무런 패턴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두시간 봉으로 분석해 보았다. 요즘처럼 변동성이 높아진 시장에선 두시간봉, 네시간봉 분석도 괜찮아 보인다. 하락 끝부분의 역 헤드 앤 숄더(Inverse head & shoulder)를 거치고 현재는 상향 웻지(Rising wedge) 패턴을 보이고 .. 2020. 3. 27.
ZN 10Y T-note | 미국채권 10년물 차트분석 (20.3.20 진입) [120분봉 차트분석] 바로 앞선 ES지수선물 진입과 마찬가지로, 분봉으로 클래시컬 차팅을 테스트중인 매매이다. 약 3일간 역 헤드 앤 숄더(Inverse head and shoulder)를 그리며 넥라인(neckline)을 상방으로 뚫고 가고 있다. 패턴(120분봉): 역 헤드 앤 숄더(Inverse head & shoulder) | 3일간 형성 심볼: ZNM20 진입: 136'00 상방 돌파시 스탑: 135'08 부근 타겟: 137 부근 > 위험자산인 주가지수와 안전자산인 채권을 동시에 매수하는 것은 틀린 것 아닌가? 현재 위험자산과 안전자산간의 상관관계가 예전처럼 잘 워킹하고 있지 않다. 달러냐 아니냐 정도로 시장이 움직이는듯한 느낌이다. 또한 기존의 위험자산-안전자산 상관관계에 의한 매매 꼬임을 .. 2020. 3. 20.
ES S&P500 | S&P500지수 해외선물 차트분석 (20.3.20 진입) [120분봉 차트분석] 보통 120분봉으로 패턴을 파악하는 경우는 없다. 하지만 요즘같이 변동성이 극심한 때에는 일봉 패턴과 동일하게 분봉에 대입하여 패턴 분석 및 테스트를 하고 있다. ES 종목이 120분봉으로 보아 하락 웻지(Falling wedge) 패턴을 보이고 있다. 패턴(120분봉): 하락 웻지(Falling wedge) | 3일간 형성 심볼: ESM20 진입: 2460 돌파시 스탑: 2380 부근 타겟: 2850 부근 *변동성이 매우 심한 장세가 펼쳐지고 있습니다. 제가 올리는 글은 의견으로서만 참조해 주시고, 만약 진입을 한다면 반드시 감당할 수 있는 손절을 정하고 들어가시기 바랍니다. 2020. 3. 20.
BTC Bitcoin | 비트코인 차트분석 (20.3.17) [주봉 차트분석] 역 헤드 앤 숄더(Inverse head & shoulder, 노란 선) 패턴의 오른 어깨를 그리며 위로 갈 줄 알았던 비트코인이 위험자산이 급락하면서 하루에 -40%가량 함께 폭락했다. 클래시컬 차팅은 베이지안(Bayesian)적인 생각이 기본이다. 새로운 정보가 추가되면 그에 맞게 해석을 업데이트 해야 한다. 기존의 역 헤드 앤 숄더 패턴이 무효화되고, 지금 상태에서 예상할 수 있는 주봉상의 패턴은 2018년 초 꼭지부터 시작되는 거대한 삼각형 패턴(Symmetrical triangle)이다. 만약 해당 패턴이 형성되는 과정이 맞다면 2018년 말부터 $3,000 ~$4,000 가격대에서 6개월여간 지루하게 이어진 횡보처럼 다소 지루한 장세가 당분간 펼쳐질 수 있다. V자 반등을 하.. 2020.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