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4 해외선물 주요 거래 종목 정리 + 특징 해외선물은 증권사별로 거래 가능한 상품 수는 다르지만 보통 50~100여 상품을 거래할 수 있다. 이 많은 상품 수 중에 무엇을 주로 거래하는 것이 좋을까? 첫 번째 기준은 '거래량'이다. 해외선물은 고 레버리지 상품으로 트레이더가 진입할 수 있을 때 진입 가능하고 청산하고 싶을 때 청산이 쉽게 가능해야 한다. 즉 거래량이 높은 종목이어야 한다. 두 번째 기준은 '움직임'이다. 다른 말로 하자면 변동성이 어느 정도 있어야 한다. 어느 한쪽으로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에너지인 트렌드는 클래시컬 차티스트의 친구이며 단타 트레이더들에게도 큰 변동성을 가지는 해외선물 상품은 반가운 친구일 수 있다. 그럼 크게 주가지수 / 통화 / 금리 / 에너지 / 금속 / 농축산물 순으로 각 부문별 주요 거래 상품을 알아보자. .. 2020. 3. 8. BTC bitcoin 비트코인 차트분석 (20.3.5 진입) 지난 2월 16일에 분석한 글에서 일봉상 6개월 길이의 역 헤드 앤 숄더(Inverse head & shoulder)가 예상된다고 했었다. 이전 글 참조. https://100e-trading.tistory.com/4 BTC bitcoin 비트코인 차트분석 (20.2.16 inverse H&S 가능) 패턴: 아직 형성 전, 현재 $10,000 대에서 저항을 맞는다면 Inverse H&S (역 헤드 앤 숄더)를 그릴 가능성이 있다. (기하급수적인 수익률 변화를 가지는 비트코인은 log 차트로 분석한다.) 장기 분석 - 2018년 초.. 100e-trading.tistory.com 하지만 예상한 지점(2년 넘게 형성 중인 거대 삼각형 패턴(symmetrical triangle)의 밑변)에 이르기 전에 시간봉.. 2020. 3. 5. ZS soybean 대두 해외선물 차트분석 (20.3.5 진입대기) [주봉 차트분석] 4년여에 걸친 하락 추세선을 위로 뚫고 올라가려는 시도를 지난 6개월간 두 차례나 시도하였으나 두 번 다 불발이 되었다. 또한 현재 1년 넘게 complex inverse head & shoulder 형성 중이라 볼 수 있다.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해 시장의 변동성이 높아진 상태이다. 농산물의 경우 주봉, 일봉 분석시 유의해야 할 점이 있는데, 바로 연속 차트(continuous contract chart)와 개별 월물 차트와의 차트 모양 차이이다. 이는 농산물의 경우 월물에 따라 콘탱고, 백워데이션 상황이 큰 차이를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연속 차트의 주봉이나 일봉에서 패턴이 나오더라도 항상 거래할 월물의 차트를 확인해야 한다. [일봉 차트분석] 패턴: Double bottom(쌍바닥.. 2020. 3. 5. CN China A50 해외선물 차트분석 (20.3.4 진입대기) [주봉 차트분석] 패턴: Ascending triangle (상향 직각삼각형 패턴) 패턴 길이: 5년 5년여에 걸친 ascending triangle(상향 직각삼각형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현재 일봉에서 유의미한 패턴이 보이지 않아 단시일 내에 뚫고 올라갈 것 같지는 않다. 만약 일봉상 launching pattern(위로 돌파하게끔 하는 준비 패턴)이 나온다면 15000을 강하게 뚫고 위로 갈 것 같다. 하나 유의할 점은 long and lazy pattern(년 단위의 긴 패턴)은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번 패턴의 경우 저항선의 역할을 하는 윗변이 평행한 패턴이라(horizontal pattern) 진입 자리와 스탑 자리를 잡기가 쉽다. 진입: 15000 강하게 상방 돌파시 Long .. 2020. 3. 4. 해외선물 증거금의 이해 실제 예시를 통해 내 계좌에서 증거금과 총손익, 수익률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자. 위의 그림처럼 COMEX GC(Gold) 4월물 1 계약을 1,625.0에 매도하여 같은 날 1,600.0에 청산하였다고 해보자. 예시)GC 골드 4월물, 1,625.0에 1 계약 매도GC 골드 4월물, 1,600.0에 1 계약 매수 청산 증거금과 레버리지를 기준으로 골드 1계약을 매도한 후 청산할 때까지 내 계좌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알아보자. > 위탁증거금과 유지증거금 골드 1계약 매도를 잡으려면 우선 증거금이 필요하다. 여기서의 증거금이란 계약에 진입하기 위해 필요한 예수금이며(위탁증거금) 계약에 진입한 이후 그 계약을 유지하기 위한 증거금도 있다(유지증거금). 위탁증거금이 유지증거금보다 항상 크기 때문에 우선 진입.. 2020. 3. 3. 클래시컬 차팅이란? (2) 차트에 선을 긋는다고 모든 트레이더가 클래시컬 차티스트가 되는 것이 아니다. 클래시컬 차팅은 Richard W. Schabacker의 Technical Analysis and Stock Market Profits와 John Magee, Robert Edwards의 Technical Analysis of Stock Trends(1948)에 기초한다. 헤드 앤 숄더 모양새라서 모든 비슷한 모양이 헤드 앤 숄더가 되는 것이 아니며 각 패턴마다 기준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쌍봉 패턴(double top)의 경우 다음에 같은 정의를 가지고 있다. (주식의 경우) 쌍봉을 이루는 각 봉의 고점이 한달 이상의 기간 차를 가져야 하며 각 고점과 그 사이의 저점은 고점 대비 20% 이상의 차이가 있어야 한다. 거래량의 경.. 2020. 3. 2. 이전 1 2 3 4 5 6 다음